사회 초년생을 위한 금융 교육 <텅장탈출> 1주차, 서울시 청년지원 사업 추천
평소에 재테크, 부동산, 주식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 직접 투자를 하고 싶은데 지금은 알바도 안 하고 허리디스크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라 스스로 수익을 만들기 힘들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지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 <텅장탈출> 교육을 신청했다.
서울청년센터를 처음으로 방문했는데 시설이 엄청나게 쾌적하고 집중하기에 좋아 보였다. 올해 3월 7일에 리모델링을 했다고 한다. 어쩐지~ 공부하거나 책을 읽기에 좋아 보인다. 다음 주 수요일에는 교육 듣기 전에 공부해야겠다!
서울청년센터 강서 영테크 금융 교육 <텅장탈출>
항목 | 내용 |
일정 | 5월 매주 수요일 19~21시 (4회) |
장소 | 서울청년센터 강서 회의실 |
대상 | 서울시 청년(공고일 기준 만19~39세) 15명 |
내용 | 청년을 위한 자산 형성 교육 |
문의 | 02-2600-4260 |
주의사항 | 전체 일정(4회차) 모두 참석 필수 당일 노쇼 절대 불가 홍보를 위하여 사진 촬영이 진행 |
서울청년센터와 KB금융공익재단에서 청년의 금융 자립을 위한 금융 교육 프로그램이다. 1주 차에는 자본주의에서 돈이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하여 배웠다. 좀 추상적으로 다가오는 돈이지만 나만의 정의를 만들어 돈을 모아가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내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2025년 5월 자산 형성 교육
일정 | 내용 |
5/7 | 돈이란 무엇인가 |
5/14 | 내 생에 첫 종잣돈 만들기 |
5/21 | 내 집 준비 설명서 |
5/28 | 대출 바로 알기 |
첫 주차는 포괄적으로 돈에 대해서 배웠다. 다음 주에 종잣돈 만드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지금은 정기적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없어서 능력부터 만들어야 한다. 그래도 지금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두면 나중에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제발~
교육 장소에 가니 1인당 책 2권씩 KB금융공익재단에서 집필한 금융생활 안내서를 나눠주셨다. 집 갈 때 걸어가야 되는데 "무거운 짐이 생겼구나"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굳이 교재가 없어도 PDF 파일을 제공해 주셔서 아이패드만 있어도 충분하다. 난 아이패드가 없긴 하지만 ㅋㅋ 그래서 나는 책을 챙겨 가야 한다.
돈이란 무엇인가
돈의 사전상 정의
-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가치를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 사용하는 물건.
- 물건의 값
- 재물이나 재산
- 무엇을 하는데 드는 비용
내가 생각하는 돈
- 몸을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EX) 대중교통
-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늘려준다. EX)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청소대행, 세탁대행
- 행복한 순간을 만들어 준다. EX) 맛있는 음식, 분위기 좋은 식당 / 카페
-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 준다. EX) 여행, 옷, 강의 듣기
각자가 생각하고 느끼는 정의는 다르겠지만 대부분 비슷할 거라고 본다.
스스로에게 부끄럽지만 지금도 낭비되는 시간이 많다. 무기력할 때면 의욕이 없어져서 그냥 누워있거나 OTT 들어가서 시간을 낭비한다. 이러면 시간 낭비라는 것을 머리로는 인식하고 있지만 현실 도피식 시간 낭비를 자주 한다.
학교 공부는 소비된 시간일까 투자된 시간일까 잘 모르겠다. 시간이 날 때면 책을 읽는다. 책을 읽다 보면 뇌에 과부하가 와서 계속 멍 때리면서 쉬어줘야 하지만 내가 몰랐던 생각과 시선을 가질 수 있어서 좋다. 지식을 쌓는 거니까 투자된 시간일 것이다.
이 내용은 <레버리지>라는 책에서 나온 내용이라고 한다. 나도 <레버리지>를 읽었는데 기억하지 못했다. 또 읽어야겠다.
항상 당신의 시간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라. 엄격하게 시간을 투자하라. 중요한 것은 당신이 얼마나 많이 일하는가가 아니라, 세상이 당신의 비전을 위해 얼마나 많이 일하는 가이다. 당신이 사랑하는 일, 미래를 구축하는 일, 돈을 벌어다 주는 일을 할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해라. <레버리지> P.108
아직 제대로 투자를 한 경험도 없고 빚을 만들었던 경험도 없어서 전혀 공감은 되지 않는다. 그런데 여윳돈으로 투자를 한다면 내 마음도 여유로워질 것 같다.
삼성전자를 59700원에 2주 매수했는데 지금은 54800원으로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 수익률은 -8.21% 이지만 경험 삼아서 사본 것이라서 크게 아프지 않다. 그리고 처음으로 최근에 726원 주식 배당금도 받아봤다. 뭔가 재밌고 기분 좋았다.
빚은 지게 된다면 무조건 집을 구매할 때만 대출을 받을 것이다.
이 내용은 <돈의 속성>이라는 책의 소주제인 '돈마다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로 그대로 적혀있다. 책을 만들 때 시중에 있는 책들을 참고한 거 같다.
돈은 액수와 출처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으로 흐른다. 같은 금액의 돈이라도 그 출처에 따라 시간이 각기 다르게 흐른다. 또한 돈의 주인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흐르고 같은 주인이라도 다른 시간을 가진 돈이 있다. <돈의 속성> P.80
좋은 주인을 만난 돈은 점점 더 여유 있고 풍요로워진다. 신기한 것은 시간이 많은 돈이 만들어낸 돈은 모두 다 같은 자식이라서 다시 또 시간이 많은 돈을 낳는다. 누구라도 시간 많은 돈을 거느릴 만한 주인이 되지 못하면 결국 그 돈이 당신을 거느리게 될 것이다. <돈의 속성> P.81~82
서울 청년지원사업
목돈 마련을 위한 희망두배 청년통장
근로하는 청년이 목돈 마련을 통해 경제적으로 자립하고 구체적인 미래계획을 수립하여, 희망찬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이다. 엄청난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이지만 지원 자격과 의무사항이 까다롭다.
지원자격
- 서울시 거주
- 만 18세 ~ 만 34세
- 근로자
- 본인 근로소득 세전 월 255만 원 이하
- 부모(배우자) 소득 연 1억 미만, 재산 9억 원 미만
지원내용 & 의무사항
항목 | 내용 |
본인저축액 | 월 15만원 |
매칭지원액 | 본인저축액과 동일한 금액 매월 적립 |
약정기간 | 24개월 또는 36개월 중 선택 |
적립금 총액 | [15만원 - 2년] 총 720만원 [15만원 - 3년] 총 1080만원 |
저축방법 | 매월 자동이체 |
매칭금액 지원기관 | 서울시,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의무사항 | 적립기간 동안 서울시 연속 거주 |
적립기간의 50% 이상 저축 | |
적립기간의 50% 이상 근로(만기 시 근로 증빙 필수) | |
적립기간 동안 금융교육 연 1회 이상 이수 | |
매칭지원액(정부지원금)은 주거 / 교육 / 창업 / 결혼에만 사용 가능 |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서울로 전입 오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 완료한 청년 가구에게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조건이 조금 까다롭지만 소중한 돈을 아낄 수 있으니까 꼭 신청하자!
사업 개요
항목 | 내용 |
사업명 | 2025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 |
지원대상 | 2023.1.1 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 완료한 만 19~39세 청년가구로서 신청 자격을 충족하는 자 |
지원규모 | 상반기 : 6000명 하반기 : 4000명 |
지원금액 | 최대 40만원 한도 내 실비 지원 *생애 1회 |
지원내용 | 부동산 중개보수비 및 이사비 |
신청기간 | 상반기 / 하반기 |
선정방법 |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우선 선발 후 소득 낮은 순 선정 |
지급방법 | 개인별 계좌 입금 |
연락처 | 1877-9358 |
신청 자격
- 연령: 2025년 기준 만 19 ~ 39세 청년 (1985 ~ 2006 출생)
- 소득: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주택: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전 / 월세 거주
기준중위소득 | 건강보험료 가구원수 |
월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
150% | 1인 | 3,589,000 | 127,230 | 58,386 |
2인 | 5,899,000 | 210,208 | 143,648 | |
3인 | 7,539,000 | 271,459 | 221,206 | |
4인 | 9,147,000 | 330,765 | 292,298 | |
5인 | 10,663,000 | 386,684 | 357,963 | |
6인 | 12,098,000 | 431,294 | 411,250 | |
7인 | 13,483,000 | 506,004 | 496,008 | |
8인 | 14,869,000 | 552,230 | 545,970 | |
9인 | 16,254,000 | 599,810 | 591,277 | |
10인 | 17,639,000 | 673,463 | 654,281 |
신청인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고지금액이 '25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상 기준 중위소득 150%'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이하여야 한다.
※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인 경우 주민등록이 별도 분리되어 있어도 부양자 고지금액 기준으로 판단
※ 거래금액 = (월세액 x 100)
단, 거래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인 경우 = 임차보증금 + (월세액 x 70)
- 참여 제한 대상자
- '22.1.1' 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타 기관에서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받은 자
- 부모 소유 주택에 임차하는 경우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 / 의료 / 주거급여 수급자
위에 2개 말고도 청년정책이 엄청 많다. 다만, 신청조건이 까다로워서 준비해야 할 게 많다. 그래도 혜택이 좋아서 조건이 된다면 무조건 신청해야 하는 정책들이다.
부자가 되면 어떤 느낌일까? 금전적으로 여유롭고 자유롭다면~ 나도 느껴보고 싶어서 부자가 되고 싶다. 부자가 될 것이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서울머니쇼 직장인 재테크 비법 <할미언니> 강연 후기 (0) | 2025.05.17 |
---|---|
사회 초년생을 위한 금융 교육 <텅장탈출> 2주차, 내 생에 첫 종잣돈 만들기 (0) | 2025.05.14 |
댓글